전체 글32 루트권한 계정 확인 방법 ◈ 윈도우 1. Win + R (실행) > compmgmt.msc 2. Administrator 그룹에 생성된 계정이 있는지 확인 리눅스 1. /etc/passwd 파일 확인 2. 0:0 권한을 가진 계정 확인 etc 2023. 2. 7. [putty] ppk 등록 현재 사용하는 0.78 버전은 기존에 사용하는 버전과 ppk 파일 등록하는 위치가 변경되었다 기존 변경 후 기타 프로그램 2023. 2. 6. [WebKnight]에러로그 별 조치내역 Webknight 사용 중 발생하는 로그와 조치내역 저장용 차단로그 조치사항 BLOCKED: accessing/running 'echo' file Requested File > Denied Files > echo 삭제 BLOCKED: '/etc/' not allowed in data Post > Denied Post Sequences > /etc/ 삭제 BLOCKED: 'onend' not allowed in headers Header > Denied Header Sequences > onend 삭제 마지막 수정일 : 2023-02-08 웹방화벽/WebKnight 2023. 2. 1. CBS 로그 Windows 에서 7 계열의 2008이나 2003에서 비정상적으로 C 드라이브의 용량이 많을 경우가있다. 상당히 많은경우로 해당 로그가 문제일 가능성이있다 ** 시스템 파일 검사 및 시스템 업데이트 준비 도구 등의 관련 기록이 작성되는 로그 파일 ** ** 로그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삭제하면 안됨 ** servcies.msc > Windwos module installer 종료 C\Windows\LOGS\CBS persistance 파일 C\Windows\Temp cab로 검색해서 모두삭제 Windows module installer 다시 시작했을 때 cbs 로그 다시 생성되는지 까지 확인 Window/server2008 2022. 5. 9. 일정 횟수 이상으로 비밀번호 틀려 계정잠금 su linux 특정횟수이상 비밀번호 틀렸을때 계정잠김 푸는방법 - 접속 틀린횟수와 접근한 IP 확인 더보기 pam_tally2 -u 계정명 - 계정 잠금해제(이후 틀린 횟수와 IP 확인불가) 더보기 pam_tally2 -u 계정명 --reset Linux/SU Linux 2022. 5. 8. Multi Tomcat 한 OS에서 여러개의 톰캣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절차가 필요합니다. 한개의 포트에서 여러개의 서비스의 구동이 불가하기 때문입니다. 1. 톰캣에서 사용중인 포트 변경 기본적으로 3개의 포트 사용중 사용중인포트를 중복되지않게 변경해야합니다. 사용중인 포트 : 8005, 8009, 8080 설정 파일 경로 : {tomcat 설치경로}/conf/server.xml 더보기 server.xml : 8005 -> 9005(Shutdown) 8009->9009(AJP Connector) 8080>9080(HTTP Connector) ex ) 9005, 9009, 9080 2. 환경변수 설정 해당 경로에서 설정 /usr/local/2-tomcat-9.0.50/bin/catalina.sh 더보기 export CA.. WAS/Tomcat 2022. 5. 5. Tomcat log 경로 변경 기존 경로 : catalinabase 변경될 경로 : /backup/tomcat_log conf/sever.xml 수정 더보기 - 기본 설정: - 경로 변경후: bin/catalina.sh 수정 더보기 - 기본 설정: if [ -z "$CATALINA_OUT" ] ; then CATALINA_OUT="$CATALINA_BASE"/logs/catalina.out fi - 경로 변경 후: if [ -z "$CATALINA_OUT" ] ; then CATALINA_OUT=E:/dev/logs/catalina.out fi . conf/logging.properties 수정 더보기 - 기본 설정: catalina.org.apache.juli.FileHandler.directory = ${catalina.base}.. WAS/Tomcat 2022. 5. 5. [Mysql] Table 상태 확인, 복구, 최적화 1) MySQL 데이터베이스 특정 table 이 손상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#use database이름 : 확인할 DB 선택 #check table table이름 : table 상태 확인 2) MySQL Table 복구 #use database이름 : 확인할 DB 선택 #repair table table이름 : table 복구 3) MySQL Table 최적화 #use database이름 : 확인할 DB 선택 #optimize table table이름 : table 최적화 ex) mysqlcheck -uroot -p --check --all-database > tablecheck.txt 모든 DB의 table 체크 한 내역을 tablecheck.txt 파일로 출력 grep -v OK tablecheck... DB/Mysql 2022. 5. 5. 이전 1 2 3 다음